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정 및 서비스 계획수립 과정을 팀 협력 수준 에 따라 유형화하고, 팀 협력 유형에 따라 담당자가 인식하는 성과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장애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사정 및 서 비스 계획수립 과정에서의 팀 협력 유형은 3가지로 분류되었는데, ‘다 학제로 구성된 해당 서비스팀 내에서 사정 및 계획수립’, ‘단일분야로 구성된 해당 서비스팀 내에서 사정 및 계획수립’, ‘사정 전담 팀이 여러 팀을 활용하여 다 학제 사정 및 계획수립’ 이었다. 3가지 유형에 따른 서비스 성과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정 전담팀이 여러 팀을 활용하여 다 학제 사정 및 계획수립’을 하는 경 우가 이용자 측면과 제공자 측면 모두에서 서비스 성과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다. 또한 당사자 및 가족의 참여가 높고 담당자의 책임수준이 높으며, 사정 및 서비스 계획수립 매뉴얼을 사용하는 기관 의 경우에 서비스 성과를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문 분야 간 팀 협력 수준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장애인복지 현장에서 팀 협력을 통한 서 비스 성과수준을 높일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동향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