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 제시함으로써 향후 아동미술 치료 연구의 발전과 임상 현장에서의 프로그램 진행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그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지인 [미술치료연구]와 [예술심리치료연구] 중 2004~2013년 최근 10년간 아동미술치료 프로그램 관련 논문 총 138 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동향은 2005년부터 증가하여 2009년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연구대상 동향은 일반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으 며, 장애유형 중 발달 및 학습장애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다. 연구대상 인원은 1명, 집단의 경우 5~1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의 연구동향은 대부 분 혼합연구로 되어졌으며, 연구 설계는 개인을 제외하고 단일 집단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 하였다. 치료회기는 개별의 경우 16~20회, 집단의 경우 11~15회, 16~20회가 가장 많이 나타 났다. 주당 회기는 개별 집단 모두 주1회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치료시간의 경우 개별 은 41~50분을, 집단의 경우 61~90분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연구기간은 개별의 경우 4~5 개월, 집단의 경우 2~3개월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정서와 행동 문 제를 다룬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그림투사검사와 객관적 측정도구를 혼합 하여 측정하였다. 치료기법은 대부분 혼합기법을 사용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