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984.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과 동적학교생활화(KSD) 간의 상관연구

  • 187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평가하는 심리검사의 보완도구로서 동적학교생활화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2개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학생 총293명을 대상으로 동적학교생활화 그림검사와 학교적응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을 사용하여 동적학교생활화 하위영역의 값과 학교적응척 도 하위 영역 값 간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교적응 척도 각 영역마다 상, 하위집단에 따라 동적학교생활화 하위영역 간의 값을 다변량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적학교생 활화의 활동차원 영역, 그림특성차원 영역, 위치, 거리, 장벽 영역과 학교적응의 하위척도 간에는 부분적으로 정적,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수준에 따라 동적학교생활화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적응 하위영역의 점수가 높 은 상위집단의 동적학교생활화에서 활동적이고 상호작용이 많으며, 얼굴과 얼굴표정은 우 호적으로 표현되고, 팔이 길게 표현되었다. 배경종류 및 교우수가 더 많고 장애물은 더 작 게 그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 정도를 평가하기 위 한 도구로서 동적학교생활화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