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985.jpg
KCI등재 학술저널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에서의 창조적 연결성 척도 개발 및 타당도 연구

  • 143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에서의 창조적 연결성의 조작적 정의에 따라 척도를 개발하고, 해당 척도가 적합한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었는지의 여부를 검 증하는 것이다. 첫 번째로 표현예술치료에서의 창조성에 대해 문헌 고찰을 하고, 조작적 정의와 하위요인의 개념들을 구성했다. 이후에는 조작적 정의에 부합되는 46개의 예비 문 항들을 개발하고, 전문가들에게 문항 수정과 보안을 받고,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26개 의 예비 창조적 연결성 척도를 구성하였다. 두 번째로 312명의 설문지 자료를 가지고 탐색 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 요인으로 결정하고 각 요인에 해당되는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 다. 3요인은 연결성 5문항, 알아차림 5문항, 창조성 5문항으로 총 1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다. 창조적 연결성 척도의 전체의 내적 일치도는 양호했다. 세 번째로는 318명의 표 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 하기 위해 수렴 타당도, 공존타당도, 증분타당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 한국인 을 위한 영성, 심리적 안녕감, 자기 존중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간이 정신진단 검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일상적 창의성 척도와의 증분 타당 도를 통해 창조적 연결성 척도가 고유한 변량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