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PTSD와 관련된 국내 미술치료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와 치료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정보 DB를 통해 수집된 논문 46편을 대상으로 자료경향, 표본특성, 연구방법, 미술치료 방법, 치료형태에 따라 문헌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는 PTSD 관련 미술치료 연구가 2005년 이후로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단일사례연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본특성은 아동, 청소년 및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외상유형은 성폭력과 복합외상 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PTSD로 진단받은 경우는 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사전 사후 점수비교와 회기관찰을 수행한 단일사례연구설계가 가장 많았고 연 구도구는 BDI, KFD, K-HTP 순으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미술치료 방법들이 활용되었으며, 미술치료가 PTSD의 특징적 증상인 스트레스 반응 외에도 다양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목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단계적 목표와 치료활동들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치료형태는 주로 치료실 환경에서 의뢰를 통해 수행된 것으로 주 1회, 60분의 총 12회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기 수에는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 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