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커버이미지 없음
서양 문화의 지적 전통과 과학/기계론적 패러다임의 영향으로 인해 지 금까지의 상담 및 심리치료의 주요 흐름 역시 전통적으로 언어를 위주로 하는 대화치료(Talk therapy)에서 정신적인 면을 강조함으로써 살아있는 신체를 외면해 왔다. 이러한 심신 이원론적 사고는 게슈탈트 치료에서 유 일한 치료 목표이며, 치료과정 자체이며, 필요한 모든 것이라고 칭하는 자 각(알아차림)에서 특히 신체 자각(알아차림)을 제한시키고 신체로부터 자 기소외를 일으키고 있다는 통찰을 가져왔다(유계식,2000).
Ⅰ. 시작하는 글
Ⅱ. 신체 심리학적 배경
Ⅲ. 게슈탈트 치료방법의 실천적 적용
Ⅳ.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실제회기
Ⅵ. 끝내는 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