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994.jpg
KCI등재 학술저널

中古漢語에서 現代中國方言, 韓國漢字音 그리고 日本漢字音까지의 子音韻尾 變化에 대한 比較研究

  • 93

본고는 中古漢語에서 現代中國方言, 韓國漢字音 그리고 日本漢字音까지의 子音韻尾 變化規則과 이들 語言語 間의 諸屬性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中國方言의 다양성 때문에 본고에서는 北京語,蘇州方言,臺灣話, 廣州語를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각 언어에 대한 音價와 통계는 약 5,000 漢字을 수록한 본인의 도표를 기준으로 했다. 우선 中古漢語 子音說尾의 再禱에 있어서 번하드 칼그렌(Bernhard Karlgren)과 董同龢의 [-m/-p, -n/-t, -n/-k]보다는 하시모도 만다로(橋本萬太郎)가 便攝에 대해서 口蓋子音韻尾 [-n/-c]를 제시한 것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만다로의 재구가 타당성이 있음을 北京語, 蘇州方言,臺灣語의 子音韻尾를 통해 밝혔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中古漢語의 子音韻尾[-m/-p, -n/-t, -n/-c, n/-k]에서 현대 諸言語까지의 子音韻尾 변화를 고찰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북방방언의 北京語와 蘇州方言은 남방방언인 臺灣話, 廣州語,韓國漢字音 및 日本漢字音보다 子音韻尾의 변화를 많이 겪었다. 鼻音韻尾의 변화에만 국한해 말한다면 단 하나의 鼻音子音 [-n]만 보존하고 있는 日本漢字音가 가장 심한 변화를 겪고, 두개의 鼻音子音 [-n, -n]을 지닌 北京語와 蘇州方言이 그 다음으로 심한 변화를 겪었다고 말할 수 있다. 臺音韻尾에 관해서는 中古漢語의 臺音韻尾를 모두 상실한 北京語와 中古漢語의 네개의 臺音韻尾 모두 喉頭 臺音化[-p, -t, -c, -k ---> -?]된 蘇州方言이 변화가 가장 심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臺灣白話音과 臺灣文言音은 모두 같은 臺灣話의 兩層이면서도 古代漢語의 子音說尾 변화에 있어서 臺灣白話音은 상당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는데 반해 臺灣文言音은 정연하게 中古音의 韻尾를 보존하고 있는 사실 또한 특이하다. 鼻音韻尾 및 臺音韻尾의 변화규율과 평행발전면에서 모두 臺灣文言音은 廣州語와 똑같은 현상을 보이고 있어 그 親屬度가 가장 높고, 韓國漢字音은 중국방언 가운데 臺灣文言音 및 廣州語와 가장 가까운 親屬度를 보이고 있다. 韓國漢字音 및 日本漢字音은 자신들의 특수한 音值構造로 인해 중국방언과 약간 다른 音韻現狀을 보이고 있는데, 韓國漢字音의 流音化 현상(-t ---> -l) 그리고 日本漢字音의 鼻音韻尾의 母音化' 및 臺音韻尾에 대한 高母音 忝加 현상이 바로 그것이다.

1. introduction

2. The Survey of the Final Ending Consonants of Middle Chinese, Chinese Dialects, Sino-Korean and Sino-Japanese

3. General Characteristics of Final Ending Consonant Changes

4. Phonological Change Rules of Middle Chinese to Chinese Dialects, Sino-Korean and Sino-Japanese

5. Comparison of Final Ending Consonant Change Rules

6. Parallel Development of Stop and Nasal Endings

7. Conclusion

Bibliography

한글요약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