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국의 한반도에 대한 정책

  • 57
131005.jpg

2002년 10월 현재 전세계 165개 국가와 수교를 맺고 있는 중국이 중국역사상 처음 전세계와 평등한 독립국가로서 교류를 시작한 것은 1978년 12월 개혁․개방 선언 이후의 일로 겨우 24년이 흘렀을 뿐이고, 한국도 독립국가로서 전세계와의 평등한 교류는 1992년부터 겨우 10년이 지났을 뿐이다. 이처럼 당당한 독립국가로서 전세계와 평등한 교류의 역사를 갖게 된 양국의 역사는 주변의 일본(명치유신이후)․러시아(표트르 대제이후)․미국(독립선언이후)에 비해 매우 짧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간 한국은 자본주의를 통해 압축 경제건설을 한 결과 사회주의를 통한 중국보다 그 발전에 있어 매우 빠른 속도를 보여 국민총생산(GNP)에서 작은 영토와 인구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영토와 인구를 지닌 중국에 1990년대 초까지 앞선 바 있다. 그러나 1993년부터는 중국이 세계 10위를 차지하고, 한국은 세계 11위를 차지하는 역전을 보이게 되었다. 이제 중국은 2001년부터 세계 6위의 경제대국이 되었고(한국은 13위), 2005년에는 세계 3위, 2015년에는 일본 GNP의 2배를 넘어 세계 2위, 2020년에는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일본 공

1. 서 론

2. 중국의 외교정책

3. 중국의 한반도정책

4. 중국의 북한정책

5. 중국의 남한정책

6.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