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中國文學에 대한 西浦 金萬重의 鑑識眼

  • 107
131005.jpg

김만중의 문학론에 대해 논의하려면 그의 문학론이 갖는 역사적․문화적 측면을 먼저 검토해야 한다. 지금까지 주된 논의의 흐름을 보면, 조동일은 김만중의 사상이 지닌 개방적․상대주의적 관점을 중시하고 그 연장선에서 그의 문학론에 접근하고 있으며, 우응순은 김만중이 주자학에 대한 비판의 논거로 불교를 채택했으며, 그 결과 주자학에 고착되지 않고 사유의 다양성, 상대성을 바탕으로 개성적 문학론을 펼칠 수 있었다고 했다. 또한 윤호진은 김만중의 문학론을 “김만중의 국문문학옹호론은 우리의 언어와 운율 등에 대한 깊은 인식을 통해 우리 문학의 진정한 가치를 인정한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이미 김선기의 지적도 있었지만, 자국어 시가 옹호론을 중심으로 삼는 김만중의 문학론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는 제대로 규명되지 못했다. 이는 일차적으로 수필 식으로 써

1. 서론

2. 자주적 감식안의 사상적 근거

3. 중국문학에 관한 실제비평과 그 성과

4. 자주적 세계인식과 자국어 문학론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