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祖堂集》中的組合式述補結構

  • 0
131006.jpg

唐五代는 漢語語法史상 매우 중요한 시기로 간주되며, 특히 이 시기의 불교 禪宗어록인 <祖堂集>은 언어특성상 口語적 요소가 상당히 풍부하여 한어어법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특히 현재 중국 어법학계에서 가장 쟁론이 많은 화두로 부각되고 있는 述補構造를 <祖堂集>이라는 言語史적 지표를 가지고 가늠해 보았다. 本論文은 述補構造 중 사용빈도가 매우 높고 또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得"字句 組合式述補構造를 다루었으며, 서두에서는 우선 語素 "得"의 의미특성과 역사적 변화에 대해 살펴 보고, "得"字句를 "V+得(O)", "V+得+C", "V+得+O+C" 등 세 구조로 나누어 각 구조의 형식적, 의미적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한편 "得"字가 내포하고 있는 完成意味와 可能意味의 상호관계를 <祖堂集>중의 운용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일정 구조 내에서의 語用환경이 어법적 表現機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도 논의를 시도해 보았다. 본문은 또한 "得"字句 중 "得"자와 결합하는 술어동사의 의미적 특성이 "得"字句 전체의 어법구조를 결정짓는 주요한 판단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語義特性分析法과 語義指向分析法 등을 활용하여 "得"자의 어법적, 의미구조적 특성을 논증해 보았다. 【 주제어 】 《祖堂集》、帶 “得” 的述補結構、連動結構、完成補語、可能補語、動態助詞、語義特徵分析、語義指向分析、內向性動詞、取得義動詞、瞬間性動詞

1.引言

2.對語素"得"的歷史考察

3."V+得(O)"

4."V+得+C"

5."V+得+O+C"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