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현대 漢語에서 보어는 내부구조의 복잡 여부에 따라 ‘간단식 보어’와 ‘복잡식 보어’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述語(동사․형용사) 뒤에 동사(구), 형용사(구), 수량사(구), 전치사구 등을 붙여 동작의 ‘결과․방향․정도․수량․장소’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어를 ‘간단식 보어’라고 한다. ① 菜我都吃完了。(결과보어) ② 东西拿下来了。(방향보어) ③ 天气热死了。(정도보어) ④ 请你再说一遍。(수량보어) ⑤ 他住在汉城。(장소보어) 이와 달리 구조조사 ‘得’을 매개로 하여 述語와 補文을 연결함으로써 복잡한 문장을 간단하게 재구성하여 동작의 ‘실현 가능성․상태․결과’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어를 ‘복잡식 보어’, 또는 ‘得字句’라고 한다.
1. 머리말
2. 可能補語의 定義와 範圍
3. 《駱駝祥子》 중의 可能補語文 분석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