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007.jpg
KCI등재 학술저널

《吕氏春秋》整体结構体系辨析

  • 5

역사적으로 《여씨춘추》는 잡가로 분류되고 폄하되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었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여씨춘추》가 다른 선진 저작들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구조체계의 틀이 잡혀있고 편성 배열이 엄밀하다는 것이다. 또한 그렇다고 해서 외적 요소인 편장 구조의 엄밀성, 개념들의 선명성, 그리고 논설형식의 표준여부를 살피는 것만으로는《여씨춘추》의 사상체계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마땅히《여씨춘추》특유의 중심 사상이 이끌고 있는 내재적인 논리의 연속성과 그 구조체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제대로 그 사상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여씨춘추》의 사상 체계는 전체와 부분으로 나누어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사상체계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은 하나 또는 몇 가지의 핵심 범주를 둘러싸고 전개되며, 각부분간에는 일정한 구조와 층차 관계가 존재한다. 또한 전체와 부분들간에 긴밀한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그것들은 공통의 목표를 향하고 있다. 《여씨춘추》의 전체 구조는 “ 하늘과 땅을 본받아” 人事를 행한다는 기본사상에 의거하여 설계되었다. 이는 바로 그 사상체계의 주도적인 경향과 표리를 이룬다. 이렇게 설계된 전체구조 아래, 십이기, 팔람, 육론은 각각 “위로는 하늘을 헤아리고 上揆之天”, “아래로는 땅을 살피며 下驗之地”, “가운데로는 사람을 이해한다 中審之人”. 는 방법론의 세 요소에 따라, 서로 연계되기도 하고 서로 구별되기도 하면서 긴밀한 구조체계를 이룬다. 이 세 가지가 연계되는 핵심에는, 하늘의 도와 땅의 이치, 사람의 기율이 서로 통하는데 있으며, 하늘과 땅을 살피는 것의 최종 목적은 人事를 이해하는데 있다. 이것이 “천지 만물은 한사람의 몸과 같다”는 “대동” 우주관의 철학적 기초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가 구별되는 이유는 天道, 地理, 人紀가 다르기 때문인 것이다. 즉 사람이 하늘과 땅을 살피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구체적인 물상과 감각들이 생겨난다.《여씨춘추》는 “많은 사람들의 귀, 눈, 입, 코”와 “오곡과 추위, 더위” 등 “여러 가지로 다르다” 는 기본 사유를 그 이론의 근거로 삼는다. 결국 천, 지, 인의 조화, 배합, 통일을 기본으로 하는 세 구조체계의 결합을 통해《여씨춘추》전체 구조는 더욱 엄밀하고 완전한 체계를 이루게 되며, 그 목적과 격식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一、 引言

二、《序意》篇的基本思想与方法論

三、十二纪的结構体系

四、八览的结構体系

五、六論的结構体系

六、小结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