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008.jpg
KCI등재 학술저널

辨析 \'情兼雅怨\' 說兼論其意義

  • 3

鍾嶸의《詩品》은 曹植의 시가를 “情兼雅怨”이라고 평했다. 본 논문은 이 평론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한다. 曹植은 鍾嶸을 비롯한 평론가들에게 六朝 최고의 작가로 평가받고 있는데 서정표현에 있어서 雅와 怨의 특징은 각각 어떻게 나타나고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이상이 본 논문이 서술하고자 하는 문제의 핵심이다. 《詩經》으로부터 출발한 중국시가의 전통은 다양한 형태의 怨정서를 표현해왔는데 주로 민간의 생활화된 제재를 통해, 대중적 문예양식 속에서 표현되었다. 曹植의 출현은 문인시의 출발을 의미한다. 그것은 아래와 같은 3가지 방면의 전환에서 찾을 수 있다. [①창작의 주체가 민간에서 문인집단으로, ②서사중심에서 서정중심의 오언시로, ③문학의 주제가 사회현실에서 개인과 자아로] 본 논문은 贈答詩와 雜詩로부터 曹植 시가의 怨정서를 탐구하였다. 曹植 시가의 怨정서는 儒者로서의 정치적 이상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며, 이는 동시대 士人들의 문학 속에서도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贈答詩와 雜詩는 문인군체화의 과정과 발전의 맥락을 같이 하며, 曹植의 시가들도 이 유형들을 통해 동일계층 내부의 고민을 토로한다. 당시의 文士들은 贈答과 《雜詩》라고 하는 同題創作을 통해 문인계층의 인생태도와 심미관념을 형성해갔다. 曹植의 “雅”는 서정표현의 풍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曹植의 雅를 “重正之雅”와 “重美之雅”로 분류하였다. 그 구체적 내용은 ①曹植은 聖人事跡을 술회하거나 經典의 言語와 典故로 頌揚의 글을 지어 심리적 不平과 怨의 정서를 완곡하게 표현하였다. ②曹植의 시가가 이전의 시들과 구분되는 중요한 점은 압축적 警策을 사용하여 심미적 효과를 높였다는 점이다. 曹植의 인격이상은 이 警策을 통해 표현된다. 曹植의 雅가 문인시의 발전에 대한 공헌은 「四言則雅」의 원칙을 기본적으로 준수하면서도 민가적 풍격을 모방하거나 신흥문체인 오언시에도 頌揚을 내용으로 하는 전아한 풍격을 재현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은 문체관념도 정치적 요구를 벗어나 개인적 심미관념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曹植의 雅와 怨은 혼재된 형태로 표현되지만 후대 문인시의 발전을 위해 일종의 모델을 제시한다.

一、序

二、怨

三、雅

四、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