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917.jpg
KCI등재 학술저널

소양강댐 건설에 따른 주변 식생의 변화

  • 38

댐 건설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주로 기후와 농산물에 초점이 맞추어져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는 댐 건설에 따른 주변 식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장소를 준공 후 33년이 지났으며, 저수용량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소양강댐으로 선택하였다. 소양호의 범람지, 범람지보다 고도가 5m 높은 범람지 위쪽, 그 리고 호수로부터 능선을 사이에 두고 3㎞이상 떨어져 있는 대조구에서 방형구법을 통한 식생과 토양함수량 조사 가 이루어졌다. 관목층~교목층의 평균상대우점치는 범람지는 버드나무(87.9%)가,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신갈 나무(38.9%, 40.4%)가 가장 높았으며, 초본층의 상대우점치는 범람지에서는 사철쑥(34.2%)이, 범람지 위쪽과 대 조구에서는 주름조개풀(19.4%, 24.6%)이 가장 높았다. Shannon-Wiener 종다양도 지수는 관목층~교목층에서 범람지(0.26)가 범람지 위쪽(2.34)과 대조구(2.23)보다 낮았으며(p<.01), 초본층에서는 3 모둠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ørensen의 군집유사도 지수는 범람지와 범람지 위쪽, 범람지와 대조구에서 낮았으며, 범람지 위쪽과 대 조구는 비교적 높았다. 교목과 아교목의 흉고직경별 개체수는 범람지에서 5~10㎝인 버드나무(240/㏊)가,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모두 15~20㎝인 참나무속 식물(400/㏊, 466/㏊)이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치수는 범람지에 서 소나무(7,040/㏊)가,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모두 참나무속 식물(720/㏊, 400/㏊)이 가장 높은 밀도로 출현하 였다. 토양함수량은 범람지(6.28%)가 범람지 위쪽(11.13%)과 대조구(10.14%)에 비하여 낮았다(p<.01). 조사 결 과, 소양강 댐 건설로 인해 범람지는 식생이 변하였지만, 그 바로 위쪽에서는 식생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 과

4. 논 의

5. 결 론

감사의 글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