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척호의 수변식물군락의 식생조사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통하여 2008년, 2011년의 3 월~10월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08년에는 습생 및 수생식물은 14목 21과 31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를 기록하였고 2011년는 13목 15과 21속 26종 1변종으로 총 27종류13목 15과 21속 26종 1변종으로 총 27종류가 나타났으며, 2011년도 장척호의 습생식물(HG) 13종, 정수식물(EM)은 7종 부엽식물(FL)이 각각 4종, 부유식물(FF)이 2종, 침수식물(SM) 1종으로 나타났다. 2008년 14목 21과 31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와 비교하면 습생식물(HG)이 15종에서 13종으로 약 13.33%가 감소되었고 정수식물(EM)은 변화가 없었으며 부엽식물(FL)은 9종에서 4종으로 55.56%, 침수식물(SM)은 4종에서 1종으로 75%, 부유식물(FF)은 3종에서 33.33%로 각각 감소되었다. 2011 식생조사에서 나타난 식물군락은 총 16개 군락이며 나도겨풀군락 (Leersia japonica community), 갈대군락(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개구리밥군락(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물억새군락(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자라풀군락( Hydrocharis dubia community), 줄군락( Zizania latifolia community), 털물참새피군락(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community), 나도겨풀-자라풀군락( Leersia japonica-Hydrocharis dubia community), 왕버들군락( Salix glandulosa community), 마름군락( Trapa japonica community),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community), 연꽃군락(Nelumbo nucifera community), 이삭사초군락( Carex dimorpholepis community), 버드나무군락( Salix koreensis community), 마름-개구리밥군락(Trapa japonica-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고마리군락( Persicaria thunbergii)로 나타났다. 2008년에 비해 2011년에는 마름군락이 높은 비율로 감소하였다. 7~8월 사이의 급격한 저수율변화에 의하여 식생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요약
Abstract
1. 서론
2. 조사지점 및 조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