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호 등(2011)에 의해 제안된 둠벙의 유형이 화학적 수환경 특성과 습지식물의 서식 유무를 반영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4가지 유형을 대표하는 CCZ 내 8개의 둠벙에서 습지식물상과 물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샘통형 둠벙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가 모두 낮았으며, 다른 유형의 둠벙에서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농도가 높았다. 특히 물흐름형 둠벙인 경의선 둠벙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모두 높게 나타나 지표수가 주로 유입됨을 보여주었다. 대체적으로 물의 화학적 특성과 습지식물상은 둠벙의 유형 분류에 따라 나누어짐을 보였다. 그러나 CCA와 cluster analysis 모두에서 물흐름형 둠벙은 서로 연관성이 없게 나타났다. 이는 둠벙의 분류 시 논과의 물교환보다 급수원이 더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를 반영하는 새로운 둠벙 분류체계가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대상지 및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및 논의
4.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