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926.jpg
KCI등재 학술저널

서해안의 해저표면형상 예측 경험식 제안

우리나라 서해 근해역 4개지역의 해저표면형상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차가 클 뿐 아니 라 파랑 또한 상당히 크며, 해저질의 입도가 약 1.2 ~ 1.6 ∅ 의 분포로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사질의 형태이 다. 자료를 취한 해역에서의 수심은 10 ~ 65 meters로서 해저면의 표면형상이 잘 발달해 있는 편이며, 해저표 면형상에서 모래결 길이(ripple length)는 약 6 ~ 13 meters 범위이다. 기존의 모래결 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 중 파랑과 흐름이 공존할 때에 적용할 수 있는 예측식으로는 Khelifa and Ouellet 과 Soulsby 가 있다. 조사한 모래결 길이를 이 두 식으로 예측한 결과 두 식 모두 실제 측정값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 의 두 예측식이 우리나라 서해안과는 다른 해역에서 구한 자료로부터 얻은 식이거나 실험실에서 얻어졌기 때문 으로 판단된다. 기존의 예측식에 일정한 보정계수를 곱하여 수정한 결과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관측한 모래결 길 이를 잘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1. 서 론

2. 해저표면형상 자료

3. 특정한 해저형상길이와 예측식과의 비교

4. 비교 결과

5.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