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존 도달시간 산정방법에 있어 Kraven(Ⅱ)는 경사구간별 3가지 유속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해당 유 역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최근『설계홍수량 산정요령, 2012. 국토해양부』에서 제안한 보완된 연속형 Kraven 경험식은 완경사부와 급경사부의 유속을 보완하였으며, 평균유속이 최소유속 1.6m/s에서 최대유속 4.5m/s의 범위내 의 연속성의 유속을 나타내고 있어서 현실적으로 타당한 범위를 가지며, 도달시간도 매우 합리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 으므로 기존의 불연속의 문제나 매우 완만한 경우와 급한 경우의 적용성에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 구에서는 도달시간 산정방법에 있어 기존 Kraven(Ⅱ) 경험식과 보완된 연속형 Kraven 경험식에 따른 수문곡선의 변화양상 을 살펴보았으며, 동화천, 매호천, 욱수천, 금포천에 대해서 각 해당 유역특성을 고려하여 단위도법-도달시간 산정방법에 따른 홍수유출모의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1. 서 론 2. 홍수도달시간의 기본이론 3. 보완된 도달시간 산정방법 적용시 홍수수문곡선의 변화양상 비교 4. 하천별 단위도법-도달시간 산정방법에 따른 홍수유출모의결과 5.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