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931.jpg
KCI등재 학술저널

Noah LSM을 이용한 지표 플럭스 산정 및 한반도에서의 적용성 검토

  • 36

지표와 대기간의 에너지 및 수문기상인자들의 교환에 대한 이해는 수자원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기초라 할 수 있으며 이 를 위하여 Land Surface Mode(LSM)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Noah Land Surface Model (Noah LSM)은 에 너지 방정식과 물수지 방정식을 기반으로 한 지면모형으로 수문기상인자들에 대한 모의가 가능하다. 국외에는 Noah LSM 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사례들이 있으나, 국내에서는 적용사례가 매우 부족하며, 특히 단독으로 Noah LSM을 적용한 사례 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Noah LSM의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남(HFK)과 광릉(GDK) Korea Flux Network (KoFlux)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모형 결과를 산출하고, 순 복사량, 잠열, 현열의 결과를 관측 자료와 비교·검증하였다. 모형 결과와 관측치를 비교한 결과 회귀분석에서의 상관계수 값이 각 인자 별로 해남은 0.83∼ 099, 광릉은 0.64∼0.99로 신뢰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 서 론 2. 연구 방법 및 기본이론 3. 결 과 4.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