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935.jpg
KCI등재 학술저널

순천만과 벌교 하구 연안습지의 2009년 기준 갈대 및 칠면초 우세 군집 분포양상과 면적 제시

  • 22

2008년과 2009년에 획득된 KOMPSAT-2 위성영상 자료와 야외조사를 병행하여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경계를 확인하고 분포 양상과 면적을 구하였다.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주요 군락은 갈대와 칠 면초 우점군락으로 확인되었다. 퇴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간대 표층의 수준측량과 퇴적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염습 지의 퇴적상은 대부분 실트질 니와 니질 퇴적상을 보였으며 계절변화는 매우 작았고, 지형구배는 경사도가 0.0007~0.002?로 매우 평탄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염생식물은 평균해수면보다 0.7~1.8 m 높은 곳을 점하고 있었으며, 갈대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1.1~1.8 m, 칠면초 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0.7~1.3 m 높은 고도를 나타내는 범위 에서 생육하고 있다. 2009년 분포를 기준으로 순천만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79 km2, 칠면초 우점 군락의 면적은 약 0.22 km2로, 총 면적은 약 1.01 km2이다. 벌교천 하구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 면적은 약 0.31 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031 km2이며, 총 면적은 약 0.341 km2이다. 순천만-벌교 하구 염습지에서 각기 105개와 60개의 염생식물 단위군락의 분포양상과 면적이 제시될 수 있었다. 2008/2009년 위성영상에 의해 분석된 염 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양상과 면적은 국내에서 가장 중요한 염습지인 해당 연구지역에서 향후 염습지 관련 모니터 링의 기본자료로 매우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1. 서 론 2. 연구지역 3. 연구방법 4. 결 과 5. 토 의 6. 결 론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