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937.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위적으로 조성한 세 가지 수온이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sis) 알의 부화율, 부화기간 및 유생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46

본 연구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상승하고 있는 수온이 계곡산개구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수락산 일대(37°40'55.86"N, 127°05'19.99"E)에서 계곡산개구리 난괴를 채집하였다. 총 9개의 난괴를 채집하였으며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인큐베이터에 LT (5 ± 2℃), MT (10 ± 2℃), HT (13 ± 2℃)로 온도를 달리하여 사육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LT (5 ± 2℃), MT (10 ± 2℃), HT (13 ± 2℃)은 모든 유생이 부화 할 때까지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난괴에서 부화한 개체의 부화율과 부화일수, 개체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온도가 유생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유생의 부화율은 MT (10 ± 2℃)일 때 95.6%로 가장 높았고 HT (13 ± 2℃)일 때 82.6%, LT (5 ± 2℃)일 때 82.2%로 비슷한 수치가 나왔다. 유생의 부화일수는 HT (13 ± 2℃)그룹이 10일로 가장 짧았으며, MT (10 ± 2℃)그룹은 14일, LT (5 ± 2℃) 그룹은 23일이었다. 실험 결과, 부화 개체의 크기는 MT (10 ± 2℃)일 때 7.62 ± 0.11㎜, HT (13 ± 2℃)일 때 7.19 ± 0.15㎜, LT (5 ± 2℃)일 때 6.82 ± 0.10㎜ 순으로 작아졌다(ANOVA, p-value =0.00000). 본 연구를 통해 개구리의 성장과 부화에는 최적온도가 존재할 것이라 예상되었고, 지구온난화로 인한 온도의 변화는 계곡산 개구리에 부화와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더 나아가 온도 구배 상황에서 계곡산개구리 성체까지의 변태율과 크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다면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개체군에 대한 이해뿐만이 아니라 추후 멸종위기종 보존대책 등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1. 서 론

2. 연구 방법

3. 결 과

4. 고 찰

사 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