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 속한 지류·지천의 효율적인 유역선정 및 수질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38개 지류·지천 을 대상으로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013∼2014년 동안 실시한 수질·유량자료를 바탕으로, 수질현황 결 과와 각 항목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상관계수가 높고 총량 목표수질지표 항목인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BOD5), 총인(TP) 지표를 이용하여 BOD5농도/유량(Q), TP농도/유량 교차기준으로 지류·지천 등급화 방안을 실시하 였다. 그 결과, BOD5, CODMn, TP, TOC 등의 유기오염물질농도는 낙동왜관 및 낙동고령 중권역에 위치한 구미천, 경호천, 진전천, 기세곡천, 용하천, 용호천 등에서 하천환경기준 III 및 IV 등급 (5∼8 mg/L 이하) 수준으로 높게 관찰 되었다.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한 수질항목 (12가지)간 상관관계 조사 결과 역시, BOD5, CODMn, TP, TOC 등의 상 관관계지수가 다른 수질항목들에 비하여 0.8 (p<0.01) 이상으로 높았다. 유량과 수질 (BOD5, TP)항목을 활용하여 하 천등급화를 실시한 결과, 유량 (0.1 m3/s 이상)과 유기물 농도가 높은 (BOD5 >3.0 mg/L, TP >0.1 mg/L) I 그룹의 하천(영산천, 구미천, 기세곡천, 용하천, 용호천, 미전천)이 우선수질개선 및 중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사 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