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네트워크화된 컴퓨터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이다. 1990년대 디지털 미디어의 대중화는 서사물(敍事物)의 성격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창작과 수용의 형식에서 디지털 미디어는 작가가 쓰고 독자가 읽는다는 일방향성에 작가가 쓴 서사를 독자가 선택, 조작하여 다시 쓴다는 상호작용성을 첨가시켰다. 그리하여 하이퍼텍스트 소설, 인터랙티브 영화, 컴퓨터 게임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의 서사물들은 상호작용 서사, 즉 독자가 누구냐에 따라 서사의 내용이 달라지는 서사물이 되었다.
1. 서론
2.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서사성과 사건성
3. 사용자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4 가지 서사 패턴
4. 서사 계열체 이론 -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시간성 구현 원리
5. 결론
참고문헌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 시간성(temporality), 사건(event), 시퀀스 형 서술구조(Sequence type narrative structure) 루프 형 서술구조(Loop type narrative structure) 내비게이션 방법(navigation method), 데이터베이스 형식(Database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