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부모는 자식에게 최상의 것을 주고자 한다. 좋은 의식주, 사랑이 그것이거니와, 최상의 선물 중의 하나로 빠뜨릴 수 없는 게 바로 이야기이다. 부모는 자식에게 ‘화려한 버섯은 위험한 독버섯이니 먹으면 안 된다’ 혹은 ‘아름다운 여인이 사실은 꼬리가 아홉 달린 여우의 변신일지도 모른다’고 가르친다. 이러한 이야기 속에는 아이들의 생존에 직접 관련된 지혜, 다시 말해 아이들이 현상에 매몰되지 않고 세상의 진실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지혜를 포함한다. 베텔하임에 의하면, 옛이야기(enchantment)는 어린이들이 읽는 어떤 유형의 이야기보다도 인간의 내면 문제들에 대해서 많은 가르침을 주고 또 어린이가 처한 난관에 알맞은 해결책을 제시한다. 옛이야기는 수백년 동안 거듭되면서 표면적 의미와 심층적 의미를 함께 지니게 된다. 그리하여 옛이야기는 인간의 모든 심리적인 측면에 동시에 호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어른은 물론이고 순진한 어린이의 마음에까지 닿을 수 있는 방법으로 의미를 전달한다.
1. 서론
2. 탈출 서사의 의미
3. 탈출 서사의 유형
4. 탈출 서사의 구조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