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게임성 분석을 통한 리얼리티 쇼의 유형연구 : 미국과 한국 리얼리티 쇼의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 167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기존에 존재하는 텔레비전의 여러 장르를 포섭하면서 다양한 유형을 양산해 내고 있다. 이재현은 이를 ‘탈장르 현상’으로 보며 전통적인 프로그램 장르가 쇠퇴하고 코미디와 드라마, 다큐멘터리와 드라마, 음악쇼와 토크 등이 결합하는 복합적인 장르 요소를 포함하는 탈장르 프로그램들로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특성을 꼽고 있다. 이전에 존재하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를 포섭하며 혼종성(Hybrid)을 보이고 있다는 기존의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사는 실상 게임을 전제로 한 프로그램의 특성을 간과하고 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 파생된 리얼리티 쇼의 경우, 고정된 규칙(Rule)을 바탕으로 한 목적지향적인 게임을 전제로 하여 전체적인 리얼리티 쇼의 흐름으로 주도하고 있다. 실제로 스티브 존슨(Steve Johnson)은 리얼리티 쇼를 다분히 인공적이고 특정한 법칙에 의해 지배되는 환경에서 대본 없이 일어나는 경우인 리얼리티 쇼를 일종의 게임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으며, 또한 그는 규칙에 의해서 움직이는 경쟁형태 쇼를 설명하면서 리얼리티 쇼와 게임의 관계를 강력하게 명시한다. 이렇듯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새로운 형식의 TV콘텐츠인 리얼리티 쇼는 그 전제를 놀이, 즉 게임에서 차용했다는 것에서 주목할 만하다. 일방향의 매체인 TV가 양방향적인 게임의 형식을 차용함으로써 프로그램 내부의 참가자 뿐 만 아니라 시청자의 참여까지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전 방위적인 리얼리티 쇼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리얼리티 쇼에 대한 정의는 아직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리얼리티 쇼를 구성하고 있는 게임성을 일부를 단순한 게임 쇼에 비견하고 있는 것에 문제점을 제기한다. 리얼리티 쇼의 주된 목표는 도전과 경쟁이며 이는 곧 게임을 의미한다. 경쟁을 즐기며 경쟁을 통해 남들과 관계를 맺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게임 세대에게 리얼리티 쇼는 바로 현실을 반영하는 동일한 하나의 게임이다. 전통적인 게임의 요소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리얼리티 쇼가 표방하는 쇼 안의 현실성은 이들 세대의 게임과 상응한다. 치열한 경쟁구조 속에서 펼쳐지는 갈등과 예측할 수 없는 결말은 현재 디지털 게임에서 나타나는 양상과 유사점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리얼리티 쇼의 연구는 게임 세대가 향유하는 대중 매체의 콘텐츠로서 유의미하다.

1. 서론

2.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의

3. 게임성 기반의 리얼리티 쇼 분류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