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은 지구상에서 풍부한 생산량을 가지며 다양한 생물이 어우러지는 생태 ․ 기능적 상호작용 및 상호 연결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역동적인 연결생태계로서 생물 종들의 이동과 산포의 생태통로(eco-corridor) 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환경부, 1995). 하천이나 농경지수로의 하변(riparian) 공간은 육상과 수계의 생물군집을 공유하는 추이대(ecotone)로 인식되며 다양한 생물종의 생활공간이다(Malanson). 그러나 오늘날 인구의 증가에 따라 도시화와 산업화가 시작된 이후 도 ․ 농의 하천이나 수로는 복개나 직강화로 하천변의 동 ․ 식물이 살수 없는 콘크리트 구조물화 함으로써 생태계의 파괴 및 생물종다양성의 하락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서 론
2. 조사지 개황
3. 조사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6. 적 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