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유아교육실제에서 몸의 교육적 의미를 재인식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인간공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몸 교육의 방향에 대한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인간공학 활동분석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OWAS기법을 적용하여 D시에 거주하는 유아를 대상으 로 비디오 촬영을 한 후 Snap reading하여 일과 활동내 몸 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아의 몸 움직임은 활동유형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허리와 팔을 중심으로 한 활동별 움직임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다리 활동성을 중심으로 활동 군별로 분석한 결과는 대집단, 소집단, 야외활동 순으로 나타나 전체집단 간 평균분석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야외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 최고 및 최저 움직임을 보 인 활동들을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한 결과, 허리의 움직임에서 소집단이 야외활동보다, 다 리의 움직임에서 야외활동이 대집단보다 유의하게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인체공학적 활동 분석법을 유아의 몸 움직임 측정에 처음으로 도입한 점과 더불어 이런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급격히 줄어드는 유아실외활동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 경각심을 일깨 웠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