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79명, 유치원 교사 75명, 총 154명을 연 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탄력성 척도(심순애, 2007), 전문성인식 질문지(이경, 2001), 직무스트레스 질문지(김남희, 199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은 각 변수 간의 관련성이 높았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모 두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이 있었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는 유아교사직이 전문적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전문직이라는 인식이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 고 인식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는 자아탄 력성의 낙관적인 태도와 분노조절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변량은 23%였다. 셋째, 유 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는 전문성 인식 중 전문적지식과 기술요구와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의 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변량은 13%였다. 넷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 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낙관적인 태도(자아탄력성), 전문적지식 과 기술요구(전문성인식), 사회경제적인 지위(전문성인식), 분노조절(자아탄력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변량은 28%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사고와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체계를 체계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