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그동안 유아교사의 학력과 자격에 중점을 두어왔던 전통적인 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들을 탐색하고자 하 였다. 교사의 학력과 경력, 기관유형과 학급규모, 교육과정 편성유형을 독립변수로 하고, 유아교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실의 질은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질, 유아 교육과정의 질, 상호작용의 질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통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실의 질에는 유아교사의 개인특성변수인 경력이나 학력 보다는 기관유형이나 학급규모와 같은 기관특성변수의 영향력이 보다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 한 사립보다 국공립으로 갈수록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높았다. 유아교실의 질을 구성하는 유아교육기 관 운영의 질, 유아교육과정의 질, 상호작용의 질의 변수에서 공통적으로 기관유형변수의 설명력이 보다 높은 것으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정책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방안 을 제시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