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방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2012) 데이터 중 996명 의 4세 유아 자료를 t 검증, 일원변량분석,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중 사회성과 활동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적을수록 놀이방해를 많이 하였다. 둘째, 유아의 사회성기질이 강할수록 교사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놀이상 호작용이 많이 나타났다. 여아는 어머니가 통제적 양육을 많이 할수록 놀이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셋째, 유아의 정서성기질이 강할수록, 사회성기질이 약할수록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적을수록 놀이단절을 많이 하였다. 남아는 아버지가 사회적 양육을 적게 할수록 놀이단절을 많이 하였다. 넷 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그 다음 유아기질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증진을 위한 교 사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