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보육의 전문성과 보육교직원의 양성체계

  • 338

본고는 상당부분 고착화된 보육교직원 양성체계 개선의 방향성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보 육의 본질을 잃지 않는 개편이 이루어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유보통합과 관련한 보육교직원(본고에서는 일원화된 양성체계에서 영유아의 보호, 교육을 담당하는 종사자를 총칭) 양성체계 논의는 상당히 오랜 동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그 논의는 학문적 논의와 정치적 논리가 섞이면서 그 복잡성을 더해왔다고 할 수 있다. 1990년 말부터 시작된 유보통 합 논의는 유아학교 설립을 통한 단선적 통합, 하나(유치원에 가까운)의 기관 모형으로의 통 합을 지향하면서 교사 양성과정 역시 유치원교사로의 단일화라는 단선적이며 한쪽으로의 흡 수 통합 논의가 우세하였다. 그러나 무상보육이라는 복지프레임에서 유보통합 논의는 보육 수요자이면서 유권자인 부모와 영유아의 행복(이익)을 위하여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영유아기관의 아동학대 사건은 그동안 수면 아래에 있던 보육교직원의 양성, 자격과 처우 개선 등이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확보가 보육의 질을 담보하는 필 요 조건이라는 대중의 인식을 얻게 되었다. 따라서 전문가 집단에서 보육교직원의 전문성을 규명하고 이를 위한 양성과정 체계의 논의는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유보통합의 과정 에서 장기에 걸쳐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양성과정 체계의 일원화는 난제이기도 하지만 이 과정에서 영유아를 비롯한 영유아보육 관련자의 논의와 토론이 활발해지면서 우리나라 보육 발전의 교두보가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