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민주통합당 보육 및 보육교사에 대한 정책방향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처우개선을 위하여

  • 67

영유아보육법(1991)이 제정된 이후 1995∼1997년 3년간의 보육시설 확충 3개 년 계획 추진을 통해 보육시설과 아동수가 급증하였으며, 2005년 부터는 평가인 증을 통해 보육시설의 질적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2007년 이후에는 표준보육과 정과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선진화하기 위해 다 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2년 부터는 만 5세 누리과정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동시에 실시되고, 0∼2세 무상보육이 실시됨에 따라 보육은 새로 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육예산 또한 2011년 2,510,736백만원에 서 2012년에는 555,490백만원이 증가한 3,065,226백만원으로 22.1%나 증액되었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육은 여전히 꺼지지 않는 불씨처럼 많은 문제를 끌어 앉고 있다. 원장은 원장대로 운영의 어려움과 정부의 강력한 규제에 불만을 토 로하고, 교사는 교사대로 낮은 보수와 과다한 업무에 대한 불만, 학부모는 보육 의 질에 대한 불신과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Ⅰ. 보육현황

Ⅱ. 보육교사의 전문성

Ⅲ. 민주통합당 무상보육 정책 목표

Ⅳ. 민주통합당 무상보육 정책 과제

Ⅴ. 민주통합당 무상보육 정책 기대효과

Ⅵ. 민주통합당 2012년 주요 보육예산 성과

Ⅶ. 검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