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729.jpg
학술저널

나와의 소통과 너와의 통합

  • 149

우리는 왜 우리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는 걸까. 우리는 왜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기 어려운 걸까. 나를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은 또한 무엇을 의미하는가. “나는 누구인가? (Who Am I?)”라는 주제는 오랫동안 우리 삶과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화두가 되어 왔다. 분명한 것은‘다른 사람들은 누구인가? (Who Are They?)’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우리는 우선 스스로에게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답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진정으로 누구인지 알지 못하고서는 진정으로 ‘그들이 누구인지’이해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나와의 소통과 너와의 통합’이라는 주제로 나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들을‘진정으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의 탐색으로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내가 생각하는 나는 어떤 모습인지, 나는 왜 어떤 행동을 습관적으로 행하고 있는지, 무엇 때문에 나는 내가 원하는 일이지만 하지 못하고, 또 원하지 않지만, 할 수 밖에 없는 선택을 하게 되는지, 나는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왜 나는 이렇게 저렇게 느끼고 있는지. 나는 때로 내 자신이 왜 그렇게 낯설게 느껴지는 지. 도대체, 진정한 나 (real self), 참자아 (authentic self, or being)’는 어떤 모습인지. 우리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만들어 낸 우리에 대한 왜곡되고 부정적인 신념과 그 발달 과정 그리고 이러한 왜곡되고 부정적인 신념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삶의 룰과 생활 양식, 그리고 생존전략들에 대한 이해는 이상에서 제시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전부는 아니지만, 부분적으로나마 제공할 것으로 믿는다. 또한 이러한 나 자신에 대한 이해는‘참자아’ 발견의 시작임은 물론, 나와 다른 ‘너’를 이해하고 도우며,‘너와 내가 더불어 함께 하는 건강한 커뮤니티성장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애들러의 개인심리학 (individual psychology)과 칼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의 인간관에 바탕을 둔 참자아에 대한 정의, 그리고 낮은 자아존중감에 대한 인지적 접근법이 본 프로그램의 기초를 제공한다.

I. 들어가기

II. 이론적인 배경

III. 프로그램의 실제 – Exercises

IV. 요 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