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의 진전으로 한국사회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공존하는 다문화사회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2014. 1. 현재 거주외국인은 1,569,470 명으로 전체 인구의 3.1%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대비 8.6% 증가하였다(2014, 안전행정 부). 이주민의 급격한 증가는 그동안 한국사회를 지탱해온 단일민족의식나 순혈주의에 심각한 도전을 제기하고 있으며, 다문화의 문제는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안전적인 사회 통합의 기반위에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모색하는 데에도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이수정, 2014). 다문화 사회로의 순조로운 이행을 위해서는 이주민들이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 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특히 다문화청소년의 사회통합이 중요하다. 우리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갈 이들 청소년들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는 일은 더 나은 삶을 위해 한국사회로 이주한 사람들의 정착을 돕는데 결정적인 요소이며, 다문화 사회 건설을 위한 핵심 과제이다. 다문화청소년들은 새로운 정착지인 한국사회 언어와 문화에 부모세대보다 수월하게 적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은 향후 1세대 부모 이주자와 현재 정착지인 한국사 회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들은 부모세대의 의지에 따라 수 동적으로 한국사회에 편입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문화사회에 대한 준비가 되지 않은 한국사회와 충돌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인 지하고 정착에 필요한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원고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현황, 유형, 특성(다문화청소년의 어려움) 및 다문화청소년상담지원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Ⅰ. 들어가기 Ⅱ. 다문화청소년 현황 Ⅲ. 다문화청소년 상담의 실제 Ⅳ. 나오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