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대다수의 출산관련연구가 저출산의 원인분석에 있어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요인을 설정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저출산 해결의 실질적 주체인 부모의 입장에서 그들의 출산의도와 기피요인을 분석하려는 접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 본 연구는 맞벌이 아내와 남편이 스스로 제시한 둘째 자녀의 출산의도와 기피요인을 탐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에 한 자녀 맞벌이 아내와 두 자녀 맞벌이 아내 1200명, 맞벌이 남편 600명에게 둘째 자녀 출산의향을 설문하여 이 내용을 바탕으로 맞벌이 아내와 남편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기피요인을 5개 요인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된 요인들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위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문가의견 스크린과정을 3차 실시하였다. 분석된 요인에 대한 심층적 확인과 맥락적 동일성을 위해 한 자녀 맞벌이 아내와 남편 각각 40명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여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기피내용을 요인별로 사례 분석하였다. 분석된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기피요인을 맞벌이부부 400쌍에게 설문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 요인은 정서적 자녀 가치관 요인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자녀 출산기피 요인은 자녀양육지원 요인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실제 둘째 자녀 출산을 의도하고 기피하는 맞벌이부부의 직접적인 이유를 살펴보고자 했으며, 그 결과 그들의 입장에서 제시된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기피요인을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것이다.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