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 101
130767.jpg

본 연구는 아동의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성향의 발달이 가족의 환경특성이나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바람직한 어머니와 자녀관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지역의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의 유아 124명(남아 69 명, 여아 55 명)과 그들의 어머니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을 위한 측정도구는 조복희 외(2000)에 의해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반영 제작된 다차원적 완벽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Rimm(1983)의 PRIDE(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 Descriptor)를 사용하여 교사가 유아를 대상으로 창의적 인성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유아의 창의적 사고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Torrance(1981)가 개발한 TTCT(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의 한국판 TTCT 도형검사 (김영채 편역, 2002)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t-test,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의 차이에서는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은 완벽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만 높은 수입가정의 어머니에게서 실수와 실패에 대한 두려움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사고 모두에 유의미한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창의적 사고보다 창의적 인성에 있어 더욱 높은 관계성을 보였다. 또한 높은 기준에 관련된 어머니의 완벽성에서 창의적 사고의유창성, 독창성, 성급한 종결, 전체 창의적 사고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는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으나 유아의 창의적 사고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높은 기준설정에 따른 완벽성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 중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과 전체 창의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과 및 논의

참 고 문 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