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정보화의 물결은 정치와 경제, 사회 등의 인간생활의 각 분야에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총체적 변화이다. 21세기의 인류는 정보화라는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변화의 방향을 오판하거나 눈부시게 빠른 변화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면 도태되고 만다는 ‘자연선택’의 관문을 통과하려는 와중에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교육 분야는 정보화에 대해 ‘이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정보화라는 변화가 다른 분야보다 교육 분야에 대해 더욱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며, 동시에 교육의 성과는 정보화의 방향을 결정하고 발전의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는 의미에서, 이들의 관계는 서로 결정적인 영향력을 주고받으며 상호발전하는 이중적 관계인 것이다. 정보화는 교육의 핵심 내용인 ‘지식’의 성격 자체를 변화시킨다. 상호텍스트적 관계로 연결된 ‘지식의 네트워크화’는 이제까지 공인되어왔던 학문의 범주와 내용 구성 체계들을 그 뿌리부터 흔들어놓고 있다. 과연 무엇이 의미있고 중요한 지식인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면서 교육의 내용 자체가 바뀌고 있다. 또한 의미있는 지식을 어떤 순서로 어떤 방법으로 가르치고 익힐 것인가에 관한 고민이 시작되면서, 정보화 시대의 교육은 방법면에서도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Ⅰ. 서론 : 정보사회 학교 환경의 변화
Ⅱ. 에듀테인먼트와 구성주의적 수업 설계
Ⅲ. 게임수업모형의 이론적 기초 : 브루너의 발견적 교수이론
Ⅳ. 게임수업모형의 설계와 사례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