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불교는 붓다가 삶의 현실 인식에서 이룬 깨달음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그 깨달음의 진리가 바로 연기(緣起)이다. 연기론(緣起論)은 인과설(因果說), 인연화합(因緣和合), 상의상관성(相依相關性), 법주 법계(法住法界)를 구조로 한다. 모든 것은 원인과 결과가 있으며, 직접적 원인인 인(因)과 간접적 원 인인 연(緣)에 의하여 과보(果報)가 드러나게 되며, 모든 존재는 서로 의존하고 관련되어 원인에 의 해 또 다른 결과들을 낳는다는 것이며, 무상(無常)의 원리들은 법칙이 없는 것 같지만 그 속에는 법 칙이 존재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 글은 연기설(緣起說)의 핵심 개념들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에 접 근해 보았다. 상의성(相依性)에 의해서는 남한과 북한 관계의 인식에 대하여, 공성(空性)과 중도(中 道)에 의해서는 통일문제들에 대한 인식 전환에 대하여, 업보(業報)와 동체대비(同體大悲)를 통해서 는 실천적 노력을 논의하고 간략하게 통일교육방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통일연구는 현재 통일학(統 一學)이라는 학문영역이 성립될 수 있을 정도로 성숙해졌고, 이제 통일학의 이론적 근거로서 형이 상학적·철학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의 목적은 불교의 연기설에 근거하여 통일의 당위성과 인식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며, 비전문가로서 이 연구가 통일연구와 통일교육의 발전에 조금 이나마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I. 머리말 Ⅱ. 불교 연기론의 구조 Ⅲ. 통일문제의 연기론적 이해 Ⅳ. 연기론을 활용한 통일교육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