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학교내 문제 학생 이해와 대처방법 : 반사회적 행동 발생모델을 중심으로

  • 119
130722.jpg

학생들을 위한 학교 안전은 중요한 문제이며 이제는 범국가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학생들의 공격성, 반사회적인 행동, 비행과 폭력 등은 학교 안에서 학생들의 비행행동과 관계가 있다(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3). 이러한 행동의 결과로 파생된 사회적 영향은 학생들의 학교 교육의 과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학교폭력 문제는 이에 관련된 학생만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 교사, 학생, 교육당국, 지역사회, 부모 등 학생들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모든 주체들이 함께 관여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극복하는데 모든 주체들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하지만, 학생들과 직접적 관계를 맺는 교사 및 학부모들이 이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각 주체들의 협력을 이끌어 낼 때 보다 효과적으로 학교 폭력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다. 국내에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 문제를 바라볼 때,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점은 교육담당담자(교사나 부모, 지역사회, 교육당국자)들이 학교폭력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학교폭력을 바라볼 때 드러난 현상에 초점을 두고, 이를 대처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만든다고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교육관련 담당자들이 학교폭력이 왜 일어나고, 어떤 과정을 거쳐 일어나며, 예후와 증후는 어떻게 파악되는지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학교 폭력을 다른 사람에게 적대감을 갖는 것, 신체적 및 심리적 공격이나 위협, 규칙위반, 성인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 사회적 기준 및 관습에 위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반사회적 행동의 하나로 분류하였다. 그러므로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와 주변에서 학생들 간에 이루어지는 부정적 의도를 지닌 공격, 폭력적인 행동을 말한다. 여기에는 신체적, 언어적, 물건 파손, 협박이나 위협 등 신체적, 물리적, 심리적 공격행동 모두를 포함한다. 그리고 집단적으로 한 학생을 따돌리고 괴롭히는 따돌림 현상도 넓은 범위에서 학교폭력에 속한다. 폭력적인 아이들과 청소년의 특징적인 공격 대상은 사회적인 대리인(동료, 형제자매 부모, 선생, 그리고 다른 성인), 재산(야만적인 행위, 절도, 재산파괴, 방화), 그리고 자기 자신(약물과 알코올 남용과 충동적인 고도의 위험한 행동) 등이다.

1. 반사회적 행동의 정의

2. 반사회적 행동 장애의 진단적 분류

3. 학교적응과 행동장애, 반사회적 행동

4. 반사회적 행동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사회적 환경

5. 반사회적인 행동의 특징

6. 학교생활과 반사회적 행동

7. 학교의 역할 및 기여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