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는 특수학급 학생이 배치된 통합학급 학생들의 또래도우미 프로그램인 ‘좋은 친구 활동’을 통해 일반학생들이 경험한 것과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알 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A 고등학교의 ‘좋은 친구 활동’ 참여 학생들을 대상 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 ‘좋은 친구 활동 지원의 다양한 동기’, ‘좋은 친구 참여과정에서의 경험과 생각들’, ‘좋은 친구 활동을 통해 얻은 결과물’, ‘좋은 친구 활동의 개선방향을 제시함’, ‘좋은 친구 활동 후 변화의 가능성을 봄’의 5가지 구성 요소가 도 출되었다. 각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동기에 의해 참여하게 되었으나 활동 과정에서 점차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태도로 변화되었고 활동 후에는 친구 관계 의 지속 등 통합교육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들을 볼 수 있었다. 아울러 연구 참 여자인 학생들은 프로그램 경험 과정에서 여러 가지 개선점에 대해서 언급하였는데 ‘체험중심 의 프로그램의 필요성’, ‘모집과 홍보 방법의 개선’, ‘교과교실제의 문제와 방안의 필요성’, ‘특 수학급 학생과의 갈등 해결의 어려움’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