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17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개인적 투표결정요인과 집합적 투표결정요인

  • 2
130611.jpg

이 논문은 17대 대통령선거의 개인적 투표결정 요인과 집합적 투표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개인적 투표결정 요인으로 출신지역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국가경제에 대한 회고적인 평가가 그 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이외에도 한미관계에 대한 태도, 이념적 성향, 연령, 노무현 정부에 대한 평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결과의 승패를 결정하는 집합적 투표결정 요인으로는 국가경제사정에 대한 평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정부업적에 대한 평가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 두 가지 합리적 변수는 이명박 후보의 승리에 70% 정도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지역주의와 세대 및 이념적 갈등은 선거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 했다. 출범 초기에 당면한 이명박 정부의 지도력의 위기는 부분적으로 선거에서 얻은 국민의 지지는 노무현 정부에 대한 처벌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새 정부에 대한 지지로 쉽게 전환될 수 없는 성격이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Ⅰ. 서

Ⅱ. 분석모형과 방법

Ⅲ. 개인적 투표결정요인

Ⅴ. 투표결정 요인이 이명박 정부에 대해 갖는 함의

Ⅵ. 결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