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는 장애인 활동보조인들을 대상으로 활동보조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활동보조인 양성 교육과정의 도움정도와 활동보조인으로서의 서비스 내용의 중요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활동보조인 양성 교육과정이 활동보조서비스 제공과정에서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는 이론교육에서 ‘사회복지 및 장애인복지에 대한 이해’ 과정과 실습교육에서 ‘의료 및 재활서비스’에 대한 도움 정도가 낮게 나타났고, 활동보조인들의 학력에 따른 도움정도에서는 이론과정이나 실습과정 모두에서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교육과정이 도움이 덜 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보조인으로 일한 기간에 따라서는 활동보조인으로 일한 기간이 길어질수록 ‘활동수칙 교육과정’의 도움 정도가 낮게 나타났고, 자원봉사 경험에 따라서는 자원봉사경험이 있는 활동보조인들이 자원봉사 경험이 없는 활동보조인들에 비해 도움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들에게 만족할만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활동보조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한 결과에서는 ‘함께 공감해 주는 마음’,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지식’, ‘이용인의 의사존중’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활동보조인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정책적 제언으로서는 실습교육 강화, 교육과정의 질적 수준 제고, 매뉴얼 및 활동지침 제공, 올바른 가치와 윤리에 대한 교육내용 강조 등을 제시하였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논의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