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의 이주노동자를 돕는 실천현장의 이해와 사회복지교육의 과제 : 현장 활동가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 조사를 근거로

  • 22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이주노동자들을 돕는 활동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주노동자를 위한 실천 현장의 복합적 현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사회복지교육의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활동가들의 현장 특성은 ‘이주노동자’, ‘고용주’, ‘지역사회’, ‘정부’와의 상호작용적 현실로 구성된다. 활동가들은 사각지대에 놓인 이주노동자들과의 ‘사람 대 사람의 만남’과 ‘이야기과정’을 통해 ‘공감, 존중, 이해, 문화적 다양성과 고유성’ 등을 경험하고, 지역사회차원에서는 다문화세대를 준비하는 다리역할을 수행한다. 현장의 운동적 비전은 시민운동단체 활동가들의 고유한 정체성이지만 현장의 ‘전문성’과 ‘재교육’의 미비로 딜레마를 경험하기도 한다. 이주노동자문제와 관련 현장의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방향과 내용은 활동가, 이주노동자, 고용주, 지역사회 대상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사회복지운동의 관점과 관련 실습현장의 개발이 포함되어야 한다.

I. 서론

II. 문헌 검토

III. 연구설계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