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가 교재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나를 사회복지 정책론을 중심으로 고찰하기 위해, 1983년부터 2010년 사이에 발간된 사회복지정책론 교재 91권 중에서 17권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분석에 앞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6년에 발간한 지침서를 살펴보니, 사회복지정책론 지침내용이 이념지향적 성격에서 분석지향적 성격으로 다시 절충적 성격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침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복지정책의 영역에 있어서 초기에는 교육정책과 주택정책까지 포함하는 광의였다가 2004년 판 이후에는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보험(그 중에서도 건강보험과 국민연금)만 포함하는 것으로 그 영역이 축소되었다. 한편, 사회복지정책론 교재에 교과목지침서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해 보았더니, 지침서 내용이 교재에 점차 많이 반영되어 최근에는 지침서에 기반하여 교재가 표준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요약
I. 서론
II. 선행연구 및 분석의 준거
III. 교과목지침서와 사회복지정책론 교재
IV.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