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노인의 자살생각 억제와 관련된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 118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억 제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후 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노인의 자살을 예방하는 방안을 탐색 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자살생각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노인의 자살생각 억제 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학술지 및 석·박사논문 45편을 연구대 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변 인은 모두 23개로, 개인특성 변인군의 하위변인이 7개, 개인·가족 환경 변인군의 하위변인이 8개, 개인 심리 변인군의 하위변인이 4개, 사회 환경 억제 변인군의 하위변인이 4개로 분류되었다. 둘째, 변인군 별 효과크기는 개인·가족 환경 변인 군, 개인 심리 변인군, 사회 환경 변인군 순이었으며, 세변인군 모두 중간 효과크 기를 보였다. 개인특성 변인군은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개인·가 족 환경 변인군 중 가족 지지가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고, 경제적 만족 및 가족관 계 만족, 건강 만족, 가족 결속력이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넷째, 개인 심리 변인군의 하위변인 중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이 큰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 환경 변인군의 하위변인 중 사회 활동 참여가 가장 큰 효 과크기를 나타냈고 그 다음 사회적 지지, 전문가 지지 순이었으며 모두 중간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자살 생각 억제를 위한 예방교육 및 정책방 안에 있어 개인·가족환경변인인 가족 지지와 개인 심리 변인인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 강화 그리고 사회환경변인인 사회 활동참여에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 음을 시사해준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