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복지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현황의 분석과 논의

  • 232

이 연구는 2014년 현재까지 개발된 우리나라 사회복지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의 내용을 직무분류체계 차원에서 검토?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분류체계 중 직무- 과업 수준의 분류항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07년 이후 현재까지 진행 된 NCS 개발과정에서의 사회복지직무분류체계를 추적하였으며, 선행된 사회복지 직무 분석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직무 및 과업수준의 항목들이 얼마나 유사 혹은 상이한가 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영국과 호주의 사회복지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화 결과를 비교·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NCS의 직무분류상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함의를 구하고 자 하였다. 연구 결과, 2007년 이후 사회복지분야의 NCS 개발과정에서의 대분류-중분류 -소분류-세분류(직무) 체계상의 혼란과 누락이 존재하였고, 2014년 현재 13개의 세분류 (직무)범주가 사회복지현장의 직무를 포괄하는 데에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 악되었다. 특히, 문제별, 인구대상별 서비스 영역의 직무영역들이 2007년 이후 실종되었 으며, 직무수준의 항목들은 과업수행기능수준의 항목들과 서비스영역을 의미하는 항목 들이 혼재되어 있다. 직무항목 수준에서의 내용적 불균등성은 비단 한국에 국한하지 않 고 호주의 경우에도 목격되고 있으나, 향후 NCS의 타당성제고를 위한 직무-과업수준 항목의 기준설정이 재검토 되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경험적 배경 Ⅲ. 한국의 사회복지분야 NCS 분류체계의 분석 Ⅳ. 논의 및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