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한국사회복지교육
- 제29집
- : KCI등재
- 2015.03
- 85 - 113 (29 pages)
정서적 자활에 대한 개념이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으나, 실제 연구에서는 경제적 자활 의 차원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강했으며, 정서적 자활을 측정하는 개념에 대한 연 구도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용희망척도(Employment Hope Scale)를 국내에 적용하여 자활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을 평가하는 틀로서의 가능성을 검 증하고자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지 역자활센터 458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서, 회복탄력 성, 자활생각, 방해요인 등이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활 참여자의 심리 사회적 자원이 증가할수록 정서적 자활 수준이 높아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자활사업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정서적 자활의 중요성과 고용희망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