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은퇴공무원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사회적 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73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공무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찰하여 그 결과 를 토대로 은퇴공무원을 위한 임상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은퇴공 무원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1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약 3달 동 안 은퇴공무원을 대상으로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한 220부를 통계 처리하여 사용하였 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은퇴 공무원들이 자신이 소유 한 주택에 거주할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 상태를 유 지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공무원의 부부관계만족도의 하위 변 인들 중 사회 심리적 동질감, 결혼생활에 대한 불만족과 부부관계의 불만족이 생활만족 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공무원의 사회적 관계망의 하위 변인들 중에서는 연락할 수 있는 가족 수, 사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가족 수와 사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친구 수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