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사회복지교육의 핵심적인 교과목 지침을 일본의 각 대학별로 사례연구를 통하여 어떠한 명칭, 형식, 내용으로 교과목들이 개설되고 있는지 비교?분석하여 우리 나라의 시사점을 제시하여 사회복지교육의 발전에 기여하려고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 본의 사회복지교육은 1921년 일본여자대학에서 시작되었고, GHQ의 주도아래 미국식 사 회복지교육이 추진되었다. 1987년도에는 사회복지사 및 개호복지사법이 제정되어 거기 에 맞추어 사회복지교육이 발달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은 사회복지 실천, 정책, 실습교 과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대상은 일본여자대학, 일본사회사업대학, 관서학원 대학이다. 분석결과, 첫째, 교과목의 특성과 중요도에 따라 학점배정이 상이하며, 시리즈 과목으로 구성되어 체계적으로 교육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정부주도의 교과목 개 편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일률적, 계획적, 체계적으로 개정?개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셋 째, 사회복지교육이 대학의 지향, 특성, 이념, 사회적 인식, 국민의 필요성 등에 따라 매 우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I. 서 론
II. 일본사회복지교육의 변화과정
III. 연구방법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