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문제 해결을 위한 직접교수법의 이론과 활용방안 : 직접교수법의 의미와 주요 특징

  • 1,872
130467.jpg

본 논문은 그동안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분야에서 별 구분 없이 사용되어 오던 직접교수법의 두 가지 유형을 구분하고, 그 중 미국 오레곤 대학교 (University of Oregon)에서 개발된 직접교수법의 특징과 적용 방안을 소개하는 데 그 주 목적이 있다. 흔히 교사중심 수업 방법의 하나로 널리 알려진 직접교수법(direct instruction)과 달리, Engelmann과 Carnine 등이 개발한 직접교수법 (Direct Instruction)의 핵심은 명료한 의사소통 원리에 근거하여 교재와 교사에 의한 내용 전달 과정 모두를 명쾌하고 명료화하려 했다는 점에 있다. 이들이 주장한 직접교수법의 주요 특징은 최대한의 교수-학습 시간 확보를 위한 수업의 조직, 명료한 의사소통 원리에 근거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설계, 그리고 학생의 실제 학습시간 최대화를 위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측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수업 조직 측면에서는 교실의 물리적 배치, 수업 집단 형성, 그리고 수업 시간 계획 측면을 다루었다. 교수-학습 프로그램 설계 측면에서는 내용 분석을 통한 큰 개념과 학습 목표 및 전략의 확인, 명료한 의사소통을 위한 내용 조직, 대본화된 교사용 지도서, 기술의 계열화, 그리고 주제별 조직을 다루었다. 그리고, 교사-학생간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적극적인 학생 참여, 집단의 합창식 반응, 신호의 사용, 수업의 진행 속도, 완전학습 지향, 오류 교정 철자 중시, 동기화, 지속적인 평가 등을 다루었다. 직접교수법이 특히 특수교육 대상자나 일반학생 중 학습에 문제가 있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다는 다양한 선행 연구 결과와 함께, 우리 교육 현장에서 직접교수법을 적용하는데 관련된 몇 가지 쟁점들이 논의되었다.

I. 문제 제기

II. 직접교수법의 의미

III. 직접교수법(DI)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과 원리

III. 직접교수법의 효과

IV. 요약 및 결론: 직접교수법의 창조적 적용의 조건

참고문헌

(0)

(0)

로딩중